봄이 오는 길목에 서서 과거 농업을 회상해본다.

지게, 자전거, 리어커가 주이던 시절

지금쯤에는 논, 밭 이곳 저곳에서는 거름더미가 보이기 시작했다.

아침에 일어나면 김이 모락모락 피곤 했었다.

지게를 지기도 했고, 리어카에 실어서 나르기도 했다.



그 시절엔 집집마다 거름더미가 있었다.

집 부엌은 마구(우사, 소집)와 붙어 있었고,

마답(소를 집 안에 메어 두는 곳)은 앞마당 하켠이었다.

그 옆이 주로 거름을 만들기도 하고,

거름을 모우는 거름더미가 있었다.



소집인 마구를 치면 일단은 거름더미로 나간다.

바소가리가 달린 지게를 마구앞에 대고

거름대를 이용하여 지게에 실어 거름더미에 실어낸다.

마구에서 나오는 소오줌이 모이는 것을 수채라고 했고,

수채는 똥바가지를 이용해서 통에 담아 도랑에 붓거나 거름더미에 부었다.

마당을 쓸면 거름더미로 쓸었고,

보탕(장작을 패기 위한 큰 통나무, 장작을 패는 장소) 마지막 청소를 하면

찌꺼기를 또한 이곳 거름더미에 모았다.

군불을 때는 아궁이의 재도 여기에 쌓였다.

상한 음식을 버리는 곳이기도 했으며,

화장실을 치면 골고루 부어주기도 했다.

밤에 사용한 오강을 비우기도 했으며,

밤에 꼬맹이들이 볼 일 보는 장소이기도 했다.

개똥, 소똥, 닭똥이 모이기도 했다.



낚시를 가려면 지렁이가 필요한 시절이었다.

그때의 낚시대는 어쩌다 생긴 대나무,

그것도 없어 산에 조림된 은사시 나무를 몰래 베어서 사용을 했다.

지렁이가 가장 많이 사는 곳이기도 했다.

호미로 두어곳만 파면 거뜬했다.



육묘를 하기 위한 상토를 생산하는 곳이 거름더미였다.

최소한 만 1년 이상은 묵은 것이어야 한다.

오래되지 않은 것을 사용하다보면 가스피해로 육묘를 거르치기도 했다.



겨울이 끝나면서

쌓여 있던 거름이 밭으로 나갔었다.

지금은 그 모습을 볼 수가 없어졌다.

아예 거름더미도 많이 사라져 버렸다.

소도 키우지 않고,

파리가 많이 생긴다고 하여

이제는 집에서 내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물꼬를 다녀간 박상규님의 10일간의 기록 [5] 박상규 2003-12-23 142202
2599 이곳에서 얘기하고나면 속이 풀릴 것같아요... 항상 관심쟁이 2005-03-18 1512
2598 선생님,안녕하세요 윤도훈 2005-03-17 1547
2597 감자심는 날짜와 모심기 날짜 큰뫼 2005-03-17 7862
2596 <봄이야 봄> [3] 정예토맘 2005-03-17 2314
2595 ^^ [1] 정유진 2005-03-17 1554
2594 물꼬 경사 1탄 [12] 혜규빠 2005-03-16 1801
2593 큰뫼 농(農) 얘기 42 감자 심을 날은 다가오고,,,,,, [1] 큰뫼 2005-03-15 3479
2592 자유학교 "물꼬" 그곳이 그립습니다.ㅡㅡ^ file [2] 이용주 2005-03-15 1719
2591 이제야 인사를.... [1] 현서맘 2005-03-15 1507
2590 [답글] 답답한 마음에 글 올립니다. [2] 창후맘 2005-03-15 1477
2589 답답한 마음에 글 올립니다. [1] 성/현빈맘 2005-03-15 1478
2588 기분 좋은 뻐근함 [2] 혜연빠 2005-03-14 1556
2587 아직 춥습니다. [3] 도형빠 2005-03-14 1486
2586 잘 도착했습니다. [1] 정미혜 2005-03-14 1180
2585 도착 잘 했습니다. [1] 큰뫼 2005-03-13 1854
2584 잘도착하였습니다. [1] 정근맘빠 2005-03-13 1290
2583 내 마음이 아프고 힘들 때.. 선진 2005-03-12 1282
» 큰뫼 농(農) 얘기 41 거름더미가 사라졌다. 큰뫼 2005-03-11 2045
2581 <산골마을 들불놓던 날> [1] 정예토맘 2005-03-11 1386
2580 음력 초하루는 명절이라,,,,,, 큰뫼 2005-03-10 1874
XE Login

OpenID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