몇년전 페미니즘에 대한 책을 읽으면서 조한혜정이라는 사람에 대해 궁금했었고,
작년에 어찌하여 하자센터에 갈 일이 있어 조한혜정님의 "기"를 받아보려구 상경했었지요.
이번 1월엔 성미산학교의 민정쌤과 명상을 같이하게 되어 그 학교를 방문했었는데 조한혜정님이 그곳의 교장으로 오게 되었다고 하시더군요.
중등 대안학교인 간디마을학교 홈페이지에 들렀다가 그분의 인터뷰 중 마음에 드는 부분이 있어 이렇게 필요한 부분만 잘라 옮겨봅니다.

Q; 12년제(초등 5년+중등 5년+후기 중등 2년) 학제를 어떻게 운영할지 궁금하다.

....12년간 관리를 해주겠다는 것이지 12년을 성미산학교에서 붙들고 있겠다는 뜻이 아니다. 아이들이 지겨워서 어떻게 12년을 한 곳에 있겠나. ‘Learning by doing!’ 행하면서 배우라는 것이 성미산학교의 교육 방식이다. 공부하다 여행을 떠나고 싶으면 언제든지 떠날 수 있고, 간디학교나 일본 산골의 대안학교 같은 데 1~2년씩 다녀올 수도 있다.

캠퍼스도 자유롭게 열어 놓으려 한다. 지금 성미산학교 중등 과정 아이들이 하자센터 교환 학생으로 가 있는데, 앞으로도 이런 교류를 활발하게 할 것이다. 이번 학기부터 인문학 수업은 ‘수유연구공간 너머’에서 받으려 한다.

Q; 양질의 교사는 충분히 확보돼 있나?

....대안학교에는 세 가지 형태의 교사가 필요하다. 하나는 아이 10명을 낳아 본 엄마 같은 교사. 이런 교사가 담임이 돼야 아이들을 지혜롭게 매니지먼트할 수 있다. 또 한 축에서는 수준높은 프로젝트를 기획할 수 있는 프로젝트 교사가 필요하다. 그런가 하면 이런 프로젝트를 안팎에서 연결시킬 네트워커 또한 필요하다. 그런데 이런 교사들을 확보한다는 게 쉽지가 않다. 특히 웜(Warm)한 지금 세대를 이끌어줄 수 있는 쿨(Cool)한 교사가 절대적으로 필요한데, 이런 교사는 극소수이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물꼬를 다녀간 박상규님의 10일간의 기록 [5] 박상규 2003-12-23 139637
2700 샘들꼐,,, [9] 윤지 2008-01-18 1009
2699 후// [4] 김소연 2008-07-08 1009
2698 선생님깨 [1] 차문호 2008-08-04 1009
2697 수박의 정체는. [5] 성재 2010-08-21 1009
2696 잘도착햇어요~ [8] 윤지 2010-12-26 1009
2695 긴치마를 입은 엄마를 보고... [1] 성준.빈이엄마 2004-07-23 1010
2694 [답글] 그 겨울 울고 섰던... [2] 옥영경 2004-07-25 1010
2693 백두번째 계자를 준비하면서... [3] 전순정 2005-01-18 1010
2692 아주 긴 책읽기.. 성현빈맘 2005-06-06 1010
2691 물꼬소식지가 기쁨을 주네요 운택맘 2005-06-21 1010
2690 안녕하세요^^ [4] 기표 2007-02-28 1010
2689 춘천에서.... [1] 채은규경 2004-06-19 1011
2688 물꼬가 그립다.. [6] 김세원 2008-01-04 1011
2687 예찬이 엄마입니다 [1] 허새미 2008-08-04 1011
2686 [답글] 잘 왔어요.... 서현 2010-01-16 1011
2685 잘 도착했어요~! [7] 수현 2010-11-28 1011
2684 방명록에 글 남긴 김지윤에게 옥영경 2001-12-08 1012
2683 안녕하세여.,..저 윤선입니다 최윤선 2002-02-03 1012
2682 한사골(한겨레를 사랑하는 시골사람들) 홈페지가.... 흰머리소년 2004-01-19 1012
2681 조카랑고모랑 영동다녀와서 [1] 전승경 2004-11-05 1012
XE Login

OpenID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