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른 곳에 썼던 글을 옮겨 놓습니다.


< 가방에 수저가 든 까닭 >


“이러다 망하고 말지, 아암.”
몇 해 전 처음 미국을 방문해 일년 남짓 지내는 동안 소스라치게 자주 놀랐더랬습니다. 한국이라고 물질적 풍요가 적은 것도 아닌데, 정말이지 엄청나게 쏟아져 나오는 쓰레기더미들과 어디고 넘쳐나는 일회용품의 규모에 입이 딱 벌어지고 말았지요.
저것들을 다 어쩐단 말입니까. 이 지구는 도대체 어찌 된단 말입니까.
꼭 이 미국의 풍요가 아니더라도, 전 지구적으로 엄청나게 발달한 생산력에도 여전히 사람들이 생계를 걱정하며 사는 걸 생각하면 참 기가 막힐 노릇입니다. 어디 그런 생각만 했겠는지요. 저것들을 저리 써대자고 그토록 많은 시간과 노력을 들여 돈을 벌고 산단 말인가, 저런 풍요가 우리를 보다 인간다운 삶으로 끌어가는가...

저는 한국의 산골에서 조그만 학교를 중심으로 작은 공동체 실험을 하고 있습니다. 하기야 사람살이가 언제는 공동체가 아니었습니까. 속세의 인연을 끊고 절집에 들어앉은 스님조차 어디 바깥세상과 무관하던가요. 우리 몸둥아리 하나만 보더라도 각 부분들의 섬김과 나눔이 있지 않으면 어찌 한 순간인들 살아 숨쉴 수 있을 지요. 이 우주 가운데 어떤 다른 것의 섬김과 헌신 없이 삶을 영위하는 존재가 어디 있던가요.
그런데 새삼스러울 것도 없이 문제는 오늘날의 문명이 이런 공동체성을 잃어버렸다는 거지요. 공동체성에 대한 무지가 이 세상의 위기를 가져온 건 아닐까, 그것이 인간의 참된 행복을 왜곡하게 하는 건 아닐까, 그것이 산골로 발걸음을 끌었던 첫째 까닭이지 않았나 돌아봅니다.
그러니 산골에서 유기농으로 농사지으며 아이들이랑 모여 사는 일이 중뿔날 것도 없습니다.없는 걸 하자고 한 게 아니니까요. 원래 하던 거, 우리가 고래도 살아왔던 방식으로 살자는 것이었습니다.
공동체에 속한 우리끼리만 잘 살자는 건 더욱 아니었습니다. 먼저 생각한 이들이 모여 살면서 잊히고 있는 공동체성을 회복해내고, 그 실험이 옳다면 공동체 삶이 들불처럼 번져가 언젠가는 누구말대로 ‘인연을 맞아서’ 온 세상을 정토, 혹은 천국으로 만들어낼 수 있지 않을까 기대해보는 거지요.
공동체! 스스로를 살려 섬기고 나누는 소박한 삶을 통해 저 광활한 우주로 자유롭게 솟구쳐 오르고 싶었던 겁니다. 지구 위에서의 우리 삶이 거대하게 한 가지 모습으로 중심화 되어가는 것에 반해 작고 여린 것들이 살아가는 방식을 찾기 위해 우리 안에 있었던 것을 깨닫고 회복해내고 싶었던 겁니다.

사실 거대한 담론이야 이 산골 아줌마한테 버거운 얘기이고, 단지 이 일상에서 만나는 미국의 풍요에는 정말이지 괘씸해집니다. 저 수많은 물건들이 어디로부터 무엇으로부터 왔겠는지요. 그만큼 자연은 또 어찌 되었을 것입니까.
“당신들이 망친 지구니까 당신들이 고쳐 놔.”제 1세계들이 망쳐놓은 지구의 가장 큰 피해자는 또 제 3세계입니다. 못사는 것만도 억울한데 말입니다. 원자락 폐기물들이 어디로 가 있을지 짐작하는 건 전문지식이 필요치 않습니다.
그런데 어쩝니까, 그들이 느끼고 알고 움직일 땐 이미 늦는 걸요. 아픈 사람이 먼저 움직여야합니다. 어쩝니까, 목마른 이가 우물 판다지 않습니까. 그러니 못살고 아픈 제3세계의 우리같은 이들이 먼저 지구를 지키는 독수리 5형제가 되어야지요.
하지만 이 환경파괴의 거대한 괴물 앞에 평범한 개인이 할 수 있는 일이란 게 그리 많지 않습니다. 알아차린 이들이 전하는 메시지를 듣고 같이 실천하고...
적게 쓰는 산골의 삶이기는 해도 긴장하지 않으면 생활은 또 금새 쓰임새가 헤퍼집니다. 요새 저는 종이를 덜 쓰기 위해 애쓰는 것과 더불어 가방에 수저를 넣고 다닙니다. 플라스틱이든 나무든 일회용 수저를 쓰지 않기 위한 노력이지요. 먼저 나무를 염두해 두었음은 물론입니다. 제가 처음 해낸 생각은 아닙니다. 몇 해 전 외국의 한 친구가 시작한 일이었고 제 삶에 구체적으로 다가온 것은 불과 몇 달 전이었지요.

또 미국에 왔습니다. 이전보다 더 했으면 더 했지 덜하지 않습니다.
“이러다 기어이 망하고 말지, 아무렴.”
외국인에다 언어가 서툴기까지 한(그것도 두 달 머물다 돌아갈) 아줌마가 할 수 있는 일이 무엇이 있을까요? 다만 미국에서도 제 가방엔 수저가 들어있답니다. 카페테리아에서 맞은편에 앉은 이는 넘치는 일회용 수저와 가방에서 꺼낸 제 수저를 번갈아보며 의아해하겠지요. 하지만 어느 날 그의 가방에도 수저가 담길 날이 오지 않겠는지요.

(2006년 6월 4일 해날, 맑음)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물꼬를 다녀간 박상규님의 10일간의 기록 [5] 박상규 2003-12-23 140356
3940 낼이 신청하는 날이네~~! 김희정 2001-11-25 1134
3939 옥샘 생신 축하드립니다. file [4] 구름아저씨 2005-12-06 1133
3938 잘 도착했습니다~ [2] 휘향 2015-01-10 1132
» 늘 가방에 수저를 넣고 다닙니다 / 시카고에서 옥영경 2006-06-28 1131
3936 큰뫼의 농사 이야기 2 나령 빠 2004-03-17 1132
3935 지난 9월 27일 '보내는 모임'... 옥영경 2001-10-20 1132
3934 잘 도착했습니다. [2] 민우 2015-01-09 1131
3933 안녕하세요....ㅠ.ㅠ [3] 곰샘(희중) 2011-05-22 1131
3932 자유학교 물꼬 상범샘과 옥샘께 [3] 박범순 2007-08-04 1130
3931 2007 프레네 교육 집중연수 성장학교 별 2007-04-25 1130
3930 모두들 고맙습니다. [2] 큰뫼 2006-09-10 1130
3929 쏟아지는 질문으로 동화를 한 편 만들어 봅시다 선진 2005-04-09 1130
3928 서울시 청소년정책토론회 안내 image 서울시대안교육 2003-06-05 1130
3927 오늘은 하늘도 맨 처음인 듯 열리는 날 나도 금방 헹구어낸 햇살이 되어 [2] 햇살아빠 2003-05-08 1130
3926 3월 13일, 새로운 진보 신문 <레프트21>이 여러분을 찾아갑니다!! [1] 레프트21 2009-03-12 1129
3925 참과학 실험 사진4 file 김인수 2008-01-11 1129
3924 푸드코리아에서 추천맛집의 방문경험담 등록받습니다. 이화연 2008-01-28 1129
3923 2006 여름 계절자유학교 사진 공지 [3] 신상범 2006-08-28 1129
3922 무사히 도착했습니다. 채은이 엄마 2005-04-25 1129
3921 늦은 단체 도착 인사.. [1] 예린 아빠 2005-02-15 1129
XE Login

OpenID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