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월 10일 쇠날 맑음, 개와 늑대의 사이 시간에

조회 수 1361 추천 수 0 2004.09.17 09:21:00

“저녁놀 봤어요?”
“예뻤지요?”
“늑대소리도 들었어요.”
정말 늑대였을지도 모릅니다.
빛이 사라지고 어둠이 내리기 전의 시간을
개와 늑대의 사이 시간이라 부른다던가요.
조릿대집에서 밤에 구워먹을 밤을 줍느라
저녁 먹은 아이들이 장대들고 밤나무 아래 섰던 때였답니다.
자연은 끊임없이 우리 사이를 스며듭니다.
그 스민만큼 길이 되어 혹은 영역이 되어
우리 삶을 끌거나 우리 삶의 토지를 성큼성큼 넓히고 있답니다.
“쇠날은 화려해요!”
남들 부담스러워하는 글쓰기도 즐기는 이 아이들이니
우리말 우리글이 있는 쇠날이 마냥 신이 납니다.
손풀기에서 겨우 연필 한자루도 하는, 색깔도 없는 그림도 즐기고
시를 분석하는 것도 재밌으라 하며
영어까지도 몸으로 놀고 있으니 어려울 게 없지요.
(가끔 좋은 사진기가 있었으면 싶지요.
너무나 장관인 아이들 모습을
오늘은 얼른 담아보자고 사진기 들고 갔더니
이런, 움직이질 않는 거예요.)
오후엔 세시간이나 흙으로 동물을 만들며 노는데,
흙이라고 함부로 쓰지 말자 하니
마지막 덩이까지 야물게 귀하게 쓰고 있는 아이들입니다.
모남순님이 저녁 밥상에 그물같은 무잎을 솎아와 내놓으셨는데,
우리 아이들 어찌나 맛나게 먹던지,
감동이었지요.
더 무얼 바란답니까.

대동놀이를 끝내고 조릿대집으로 돌아가서
밤을 구웠습니다.
아궁이 앞에서 구운 밤보다 더 맛있는 건
우리 아이들이 주고받는 생활이야기들이지요.
밤이 익고
밤이 깊어가고
깜빡깜빡 졸음이 넘어오는데,
아이들은 별보다 더 빛나는 빛을 발하며
이불 속으로 들어갑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수sort
6354 6월 8일 불날, 반딧불 반딧불 옥영경 2004-06-11 1653
6353 4월 3일 해날 자박자박 비 옥영경 2005-04-07 1652
6352 5월 16일, 풍경소리 옥영경 2004-05-21 1651
6351 1월 21일 쇠날 맑음, 100 계자 소식-셋 옥영경 2005-01-25 1650
6350 126 계자 사흗날, 2006. 8. 5.불날. 맑음 옥영경 2008-08-23 1649
6349 123 계자 사흗날, 2008. 1. 8.불날. 흐림 옥영경 2008-01-13 1649
6348 128 계자 이튿날, 2008.12.29.달날. 구름 걷어내며 해가, 그러다 싸락비 옥영경 2009-01-02 1648
6347 10월 18일 달날 흐림, 공연 한 편 오릅니다! 옥영경 2004-10-28 1644
6346 2007.11.20.불날. 얼어붙은 하늘 옥영경 2007-12-01 1643
6345 5월 29일-6월 6일, 찔레꽃 방학 옥영경 2004-05-31 1641
6344 2006.7.30.해날 / 111 계자 미리모임 옥영경 2006-07-31 1640
6343 6-8월 여름방학동안은 옥영경 2004-06-11 1640
6342 11월 14일 해날 맑음 옥영경 2004-11-22 1639
6341 6월 20일, 물꼬에 사는 작은 식구들 옥영경 2004-07-03 1639
6340 112 계자 이틀째, 2006.8.8.불날. 맑음 옥영경 2006-08-11 1636
6339 2005.10.1.흙날. 물김치독에 붓는 물처럼 옥영경 2005-10-02 1636
6338 1월 11일 불날, 기락샘 출국 옥영경 2005-01-25 1632
6337 6월 7일 달날, 한국화 옥영경 2004-06-11 1632
6336 3월 4일 쇠날 맑음, 새금강비료공사의 지원 옥영경 2005-03-06 1631
6335 2005.10.23.해날 / 2006학년도 입학 설명회 옥영경 2005-10-26 1629
XE Login

OpenID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