눈부신 봄날입니다.

하룻밤을 묵은 한 심리연구소 대표님을 떠밀듯 보내고,

마을 어르신들 몇과 읍내를 나갔습니다.

내일 어버이날 경로잔치를 위한 장보기.

부녀회장 역 한 거지요.

읍내 나간 걸음에 어르신들 한 분 한 분

작정하고 당신 볼일들도 보시고.

날 참말 좋습디다.


부랴부랴 좇아 들어와 장을 갈랐지요.

적이 늦은 감이 있습니다.

소금물에서 메주 건져 으깨고, 으깨고, 으깨고.

묵은 장은 합치고,

새 장은 쟁여서 봉해놓고.


또 부랴부랴 수행모임.

밤, 물날수행모임이 있는 날.

오늘은 기공도 같이 했더랍니다.


요새 마당 건너 커다란 백합나무는 새 꽃대가 오르기 시작합니다.

제가 키우는 것 아니라지만 아끼기로야 애지중지하는 난 못잖지요.

퇴계는 날마다 화분의 매실나무를 보며 격물을 실천했다 했습니다.

임종의 순간에도 매화분에 물을 주라는 말을 남겼다지요.

매화나무를 보기 위해 먼 길도 마다않고 달려갔고

귀향길에도 매화분을 따로 전해 받았다고.

그의 <매화시첩>만 해도 매화와 시를 주고받으며 대화를 나누기까지 한 흔적.

(인쇄 열이 식지 않은 신간 <선비가 사랑한 나무>강판권/한겨레출판)

격물! <대학>의 공부방법 하나. 어떤 사물에 이르러 직접 관찰하는.

‘격’이 이를 격이었던 것.

매실나무 잘 키우라는 퇴계의 유언은

그러니까 격물을 통해 성찰하며 살라는 당부로 해석.

책은 나무의 본성을 이해하고 그 나무를 사랑했던 선비들의 철학을 살핍니다.

성삼문이 사랑한 배롱나무며...

또한, 책은 성리학의 실천방법 중 핵심개념으로 근시를 말합니다.

가까이서 생각한다!

나무를 가까이 두고 사랑했고, 나무를 통해 공부와 깨달음에 도달했다는 것.

무언가를 가꾸고 키우는 일이 그런 것이렸다, 싶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수
» 2014. 5. 7.물날. 구름 오더니 빗방울 좀 옥영경 2014-05-31 749
3717 2014. 5. 6.불날. 맑음 옥영경 2014-05-31 679
3716 2014. 5. 5.달날. 구름 좀 옥영경 2014-05-31 678
3715 2014. 5. 3~4.흙~해날. 구름 좀 옥영경 2014-05-31 888
3714 2014. 5. 2.쇠날. 맑음 옥영경 2014-05-31 705
3713 2014. 5. 1.나무날. 맑음 옥영경 2014-05-28 774
3712 2014. 4.30.물날. 맑음 옥영경 2014-05-28 689
3711 2014. 4.29.불날. 비 내리다 갬 옥영경 2014-05-28 698
3710 2014. 4.28.달날. 많은 비 옥영경 2014-05-28 692
3709 2014. 4.26~27.흙~해날. 흐리기도 해나기도. 그리고 이튿날 비 옥영경 2014-05-28 710
3708 2014. 4.25.쇠날. 맑음 옥영경 2014-05-23 711
3707 2014. 4.24.나무날. 흐려간 오후, 그리고 몇 방울의 비 옥영경 2014-05-23 690
3706 2014. 4.23.물날. 맑음 옥영경 2014-05-23 714
3705 2014. 4.22.불날. 흐릿했던 하늘 차차 맑아짐 옥영경 2014-05-23 764
3704 2014. 4.21.달날. 맑음 옥영경 2014-05-23 697
3703 2014. 4.20.해날. 서울 맑음, 대해리 흐림 옥영경 2014-05-23 787
3702 2014년 4월 빈들모임(4.19) 갈무리글 옥영경 2014-05-21 982
3701 4월 빈들, 2014. 4.19.흙날. 흐림 옥영경 2014-05-21 828
3700 2014. 4.18.쇠날. 아침 비, 그리고 갬 옥영경 2014-05-21 689
3699 2014. 4.17.나무날. 오후 비 옥영경 2014-05-21 699
XE Login

OpenID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