눈부신 봄날입니다.

하룻밤을 묵은 한 심리연구소 대표님을 떠밀듯 보내고,

마을 어르신들 몇과 읍내를 나갔습니다.

내일 어버이날 경로잔치를 위한 장보기.

부녀회장 역 한 거지요.

읍내 나간 걸음에 어르신들 한 분 한 분

작정하고 당신 볼일들도 보시고.

날 참말 좋습디다.


부랴부랴 좇아 들어와 장을 갈랐지요.

적이 늦은 감이 있습니다.

소금물에서 메주 건져 으깨고, 으깨고, 으깨고.

묵은 장은 합치고,

새 장은 쟁여서 봉해놓고.


또 부랴부랴 수행모임.

밤, 물날수행모임이 있는 날.

오늘은 기공도 같이 했더랍니다.


요새 마당 건너 커다란 백합나무는 새 꽃대가 오르기 시작합니다.

제가 키우는 것 아니라지만 아끼기로야 애지중지하는 난 못잖지요.

퇴계는 날마다 화분의 매실나무를 보며 격물을 실천했다 했습니다.

임종의 순간에도 매화분에 물을 주라는 말을 남겼다지요.

매화나무를 보기 위해 먼 길도 마다않고 달려갔고

귀향길에도 매화분을 따로 전해 받았다고.

그의 <매화시첩>만 해도 매화와 시를 주고받으며 대화를 나누기까지 한 흔적.

(인쇄 열이 식지 않은 신간 <선비가 사랑한 나무>강판권/한겨레출판)

격물! <대학>의 공부방법 하나. 어떤 사물에 이르러 직접 관찰하는.

‘격’이 이를 격이었던 것.

매실나무 잘 키우라는 퇴계의 유언은

그러니까 격물을 통해 성찰하며 살라는 당부로 해석.

책은 나무의 본성을 이해하고 그 나무를 사랑했던 선비들의 철학을 살핍니다.

성삼문이 사랑한 배롱나무며...

또한, 책은 성리학의 실천방법 중 핵심개념으로 근시를 말합니다.

가까이서 생각한다!

나무를 가까이 두고 사랑했고, 나무를 통해 공부와 깨달음에 도달했다는 것.

무언가를 가꾸고 키우는 일이 그런 것이렸다, 싶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수sort
3758 2012. 8.27.달날. 밤, 비 퍼붓고 바람 거친 옥영경 2012-09-11 1002
3757 2012. 7. 3.불날. 해 반짝 옥영경 2012-07-08 1002
3756 2010. 1.9.흙날. 맑음 / 136 계자 미리모임 옥영경 2010-01-14 1002
3755 160 계자 나흗날, 2015. 8. 5.물날. 맑음 옥영경 2015-08-18 1001
3754 2009. 5.17.해날. 비바람 옥영경 2009-06-03 1001
3753 2019. 4.24.물날. 비 오락가락, 그리고 긴 세우(細雨) / 간장집 처마 기둥 옥영경 2019-07-04 1000
3752 154 계자 사흗날, 2013. 1. 8.불날. 맑음 옥영경 2013-01-15 1000
3751 2011. 9.20.불날. 맑음 옥영경 2011-10-04 1000
3750 2011. 3.21.달날. 맑음 옥영경 2011-04-02 1000
3749 2009.10.10.흙날. 맑음 옥영경 2009-10-23 1000
3748 2013. 3.19.불날. 오후 흐림 옥영경 2013-03-29 999
3747 2010.10.18.달날. 맑음 옥영경 2010-11-02 999
3746 6월 빈들 여는 날, 2010. 6.25.쇠날. 흐려가는 옥영경 2010-07-12 999
3745 2009.12.22.불날. 맑음 옥영경 2010-01-02 999
3744 2009.12.14.달날. 맑음 옥영경 2009-12-28 999
3743 158계자 사흗날, 2014. 8. 12.불날. 맑음 옥영경 2014-08-15 998
3742 충남대 사범대 자원활동(6.25~26), 갈무리글 옥영경 2014-07-10 998
3741 2012. 7. 5.나무날. 비 내리는 고속도로 옥영경 2012-07-19 998
3740 2012. 6.22.쇠날. 맑음 옥영경 2012-07-02 998
3739 2011.11.21.달날. 맑음 옥영경 2011-12-05 998
XE Login

OpenID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