눈부신 봄날입니다.

하룻밤을 묵은 한 심리연구소 대표님을 떠밀듯 보내고,

마을 어르신들 몇과 읍내를 나갔습니다.

내일 어버이날 경로잔치를 위한 장보기.

부녀회장 역 한 거지요.

읍내 나간 걸음에 어르신들 한 분 한 분

작정하고 당신 볼일들도 보시고.

날 참말 좋습디다.


부랴부랴 좇아 들어와 장을 갈랐지요.

적이 늦은 감이 있습니다.

소금물에서 메주 건져 으깨고, 으깨고, 으깨고.

묵은 장은 합치고,

새 장은 쟁여서 봉해놓고.


또 부랴부랴 수행모임.

밤, 물날수행모임이 있는 날.

오늘은 기공도 같이 했더랍니다.


요새 마당 건너 커다란 백합나무는 새 꽃대가 오르기 시작합니다.

제가 키우는 것 아니라지만 아끼기로야 애지중지하는 난 못잖지요.

퇴계는 날마다 화분의 매실나무를 보며 격물을 실천했다 했습니다.

임종의 순간에도 매화분에 물을 주라는 말을 남겼다지요.

매화나무를 보기 위해 먼 길도 마다않고 달려갔고

귀향길에도 매화분을 따로 전해 받았다고.

그의 <매화시첩>만 해도 매화와 시를 주고받으며 대화를 나누기까지 한 흔적.

(인쇄 열이 식지 않은 신간 <선비가 사랑한 나무>강판권/한겨레출판)

격물! <대학>의 공부방법 하나. 어떤 사물에 이르러 직접 관찰하는.

‘격’이 이를 격이었던 것.

매실나무 잘 키우라는 퇴계의 유언은

그러니까 격물을 통해 성찰하며 살라는 당부로 해석.

책은 나무의 본성을 이해하고 그 나무를 사랑했던 선비들의 철학을 살핍니다.

성삼문이 사랑한 배롱나무며...

또한, 책은 성리학의 실천방법 중 핵심개념으로 근시를 말합니다.

가까이서 생각한다!

나무를 가까이 두고 사랑했고, 나무를 통해 공부와 깨달음에 도달했다는 것.

무언가를 가꾸고 키우는 일이 그런 것이렸다, 싶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이름 날짜sort 조회 수
3758 2014. 6.17.불날. 이따금 흐림 옥영경 2014-07-04 732
3757 2014. 6.16.달날. 구름 옥영경 2014-07-04 798
3756 2014. 6.15.해날. 맑음 옥영경 2014-07-04 721
3755 2014. 6.14.흙날. 구름과 해와 옥영경 2014-07-04 755
3754 2014. 6.13.쇠날. 잠깐씩 구름 지나다 비 뿌리는 오후 옥영경 2014-07-04 695
3753 2014. 6.12.나무날. 천둥 번개 그리고 소나기 옥영경 2014-07-04 737
3752 2014. 6.11.물날. 소나기 옥영경 2014-07-03 787
3751 2014. 6.10.불날. 종일 흐린 속에 비 몇 방울 지나고 밤 깊어 빗줄기 제법 굵다 옥영경 2014-07-03 701
3750 2014. 6. 9.달날. 소나기방울 옥영경 2014-07-03 762
3749 2014. 6. 8.해날. 안개 뚫고 와서 갠 옥영경 2014-06-24 768
3748 2014. 6. 7.흙날. 맑음 옥영경 2014-06-24 694
3747 2014. 6. 6.쇠날. 흐리다고 하기엔 맑은 옥영경 2014-06-24 714
3746 2014. 6. 5.나무날. 흐림 옥영경 2014-06-24 684
3745 2014. 6. 4.물날. 흐리다 빗방울 옥영경 2014-06-24 695
3744 2014. 6. 3.불날. 흐리고 비 옥영경 2014-06-24 727
3743 2014. 6. 2.달날. 비 몇 방울 옥영경 2014-06-24 696
3742 2014. 6. 1.해날. 빗방울 옥영경 2014-06-24 702
3741 부산대 사범대 국어교육과 예비교사연수(5.31), 갈무리글 옥영경 2014-06-13 1060
3740 2014. 5.31.흙날. 맑음 / 예비교사연수 옥영경 2014-06-13 709
3739 2014. 5.30.쇠날. 맑음 옥영경 2014-06-13 689
XE Login

OpenID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