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을 땄습니다,

엊저녁 흙집 공사 건으로 건너와 곡차를 마신 영욱샘과 대식샘이

같이 아침을 맞고 건너간 뒤.

마을에서 가장 맛있다는 달골 묵정밭의 감나무.

다 따면 한 동은 된다는 양이지만

겨울에 오갈 이들이 먹을 만한 양만.

손이 닿지 못하기도 하고.


감을 땄습니다, 곶감 하려고.

안나푸르나를 가느라 11월을 비우면

이 일도 못하고 말지 하고 서둘러.

그찮아도 남겨진 일들 적잖을 것인데,

이것까지 일 삼아 못하지 하고.


감을 땄습니다.

하늘에서 건져 올리는 물고기 같이 감을 낚고 있었습니다.

그건 어린 날의 기억이기도 하고,

어릴 적 외할아버지는 감나무에 늘 올라가는 손녀를 위해

아예 널을 올려 집(말이 집이지 그냥 널판 둘 놓은)을 만들어주셨고

밥까지 올려주기도 하셨던,

거기서 마을을 내려다보며 꽃도 보고 사람도 보고 달도 맞던,

그리고 지금은 산골 삶의 가을 일상인.

우리 삶의 대부분의 시간은 그렇게 과거와 바로 닿아, 뭐 당연한 말이겠습니다만,

그것들이 번번이 그렇게 불려나오는 거지요.

지금이 또한 내일 불려나갈 순간일 테고.


강희 엄마라 부르는 마을 할머니 달골 올라와

산밭 둘러보러 올라오셨다며 안부를 건네셨습니다.

얼마 전 낫으로 옥수수대를 베다 그만 손을 베

감고 다니시던 붕대를 이제 풀어 그 전말을 전하시며

볕에 나란히 앉아 마을 소식도 나누었지요.

한 달 네팔을 다녀와 바로 할 김장에 긴장하고 있자

“그거 아무것도 아녀. 이장 마누라랑 나랑 둘만 해도 다 혀.”

걱정 말고 잘 다녀오라십니다.

고맙습니다.


오늘은 보일러도 손보는 날.

창고동 보일러가 ‘점검’이라 뜨고 있었는데,

원인을 찾을 수가 없었지요.

환수밸브가 잠겼더라나요.

된장집 보일러 갈 때도 되었지요.

새고 있었습니다.

바꿔줍니다.

낡은 살림은 늘 겨울 앞에 이렇게 단도리를 요구하지요.

그래도 이렇게 해결을 할 수 있으면 다행!


밤, 방문자 있어 늦은 저녁상을 차리고

함께 감을 깎고 걸었습니다.

이렇게 또 손이 보태지네요.

“나도 곶감 구경할 수 있나?”

그럼요, 그럼요, 아무렴요.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이름 날짜sort 조회 수
3878 2014.12.24.물날. 흐림 옥영경 2015-01-04 692
3877 2014.12.23.불날. 맑음 옥영경 2015-01-04 685
3876 2014.12.22.달날. 아침 눈발 선 하늘 옥영경 2015-01-03 822
3875 2014.12.21.해날. 맑으나 가끔 눈 날리고 옥영경 2015-01-03 692
3874 2014.12.20.흙날. 맑음 옥영경 2014-12-31 673
3873 2014.12.19.쇠날. 밤 눈 옥영경 2014-12-31 788
3872 2014.12.18.나무날. 맑음 옥영경 2014-12-31 714
3871 2014.12.17.물날. 오후 눈 옥영경 2014-12-31 694
3870 2014.12.16.불날. 오후 눈 날리다 옥영경 2014-12-31 763
3869 2014.12.15.달날. 뿌연하늘, 그래도 푹한 날, 밤 눈 옥영경 2014-12-31 860
3868 2014.12.14.해날. 흐림 옥영경 2014-12-29 731
3867 2014.12.13.흙날. 밤새 눈 내리고 멈춘 아침 옥영경 2014-12-29 776
3866 2014.12.12.쇠날. 맑다가 저녁부터 눈 옥영경 2014-12-27 790
3865 2014.12.11.나무날. 흐림 옥영경 2014-12-27 681
3864 2014.12.10.물날. 가벼운 비 지나는 옥영경 2014-12-27 742
3863 2014.12. 9.불날. 맑음 옥영경 2014-12-27 1006
3862 2014.12. 8.달날. 아침 눈 옥영경 2014-12-26 749
3861 2014.12. 7.해날. 흐림 옥영경 2014-12-26 741
3860 2014.12. 6.흙날. 눈 옥영경 2014-12-25 748
3859 2014.12. 5.쇠날. 구름 옥영경 2014-12-25 789
XE Login

OpenID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