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을 땄습니다,

엊저녁 흙집 공사 건으로 건너와 곡차를 마신 영욱샘과 대식샘이

같이 아침을 맞고 건너간 뒤.

마을에서 가장 맛있다는 달골 묵정밭의 감나무.

다 따면 한 동은 된다는 양이지만

겨울에 오갈 이들이 먹을 만한 양만.

손이 닿지 못하기도 하고.


감을 땄습니다, 곶감 하려고.

안나푸르나를 가느라 11월을 비우면

이 일도 못하고 말지 하고 서둘러.

그찮아도 남겨진 일들 적잖을 것인데,

이것까지 일 삼아 못하지 하고.


감을 땄습니다.

하늘에서 건져 올리는 물고기 같이 감을 낚고 있었습니다.

그건 어린 날의 기억이기도 하고,

어릴 적 외할아버지는 감나무에 늘 올라가는 손녀를 위해

아예 널을 올려 집(말이 집이지 그냥 널판 둘 놓은)을 만들어주셨고

밥까지 올려주기도 하셨던,

거기서 마을을 내려다보며 꽃도 보고 사람도 보고 달도 맞던,

그리고 지금은 산골 삶의 가을 일상인.

우리 삶의 대부분의 시간은 그렇게 과거와 바로 닿아, 뭐 당연한 말이겠습니다만,

그것들이 번번이 그렇게 불려나오는 거지요.

지금이 또한 내일 불려나갈 순간일 테고.


강희 엄마라 부르는 마을 할머니 달골 올라와

산밭 둘러보러 올라오셨다며 안부를 건네셨습니다.

얼마 전 낫으로 옥수수대를 베다 그만 손을 베

감고 다니시던 붕대를 이제 풀어 그 전말을 전하시며

볕에 나란히 앉아 마을 소식도 나누었지요.

한 달 네팔을 다녀와 바로 할 김장에 긴장하고 있자

“그거 아무것도 아녀. 이장 마누라랑 나랑 둘만 해도 다 혀.”

걱정 말고 잘 다녀오라십니다.

고맙습니다.


오늘은 보일러도 손보는 날.

창고동 보일러가 ‘점검’이라 뜨고 있었는데,

원인을 찾을 수가 없었지요.

환수밸브가 잠겼더라나요.

된장집 보일러 갈 때도 되었지요.

새고 있었습니다.

바꿔줍니다.

낡은 살림은 늘 겨울 앞에 이렇게 단도리를 요구하지요.

그래도 이렇게 해결을 할 수 있으면 다행!


밤, 방문자 있어 늦은 저녁상을 차리고

함께 감을 깎고 걸었습니다.

이렇게 또 손이 보태지네요.

“나도 곶감 구경할 수 있나?”

그럼요, 그럼요, 아무렴요.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수sort
1834 2015. 7.31.쇠날. 맑음 옥영경 2015-08-05 683
1833 2015. 6.30.불날. 흐린 하늘 위로 비 잠시 묻어온 옥영경 2015-07-28 683
1832 2015. 5.26.불날. 맑음 옥영경 2015-07-06 683
1831 2016. 5.17.해날. 맑음 옥영경 2015-07-03 683
1830 2015. 4.18.흙날. 흐려가는 하늘, 거센 밤비 옥영경 2015-05-13 683
1829 2015. 4. 9.나무날. 맑음 옥영경 2015-05-07 683
1828 2015. 2.23.달날. 짙은 황사 옥영경 2015-03-19 683
1827 2015. 2.20.쇠날. 흐림 옥영경 2015-03-13 683
1826 2015. 2. 5.나무날. 구름 옥영경 2015-03-10 683
1825 2014.12.29.달날. 흐림 옥영경 2015-01-06 683
» 2014.10.24.쇠날. 하늘 좀 봐요, 가을하늘 옥영경 2014-10-31 682
1823 2014.10.22.~23.물~나무날. 비 내리다 갬 옥영경 2014-10-31 683
1822 2014.10. 9.나무날. 볕 좋은 옥영경 2014-10-28 683
1821 2013.10. 2.물날. 흩뿌리던 비 개고 옥영경 2013-10-25 683
1820 2016. 6.23.나무날. 흐림 옥영경 2016-07-16 682
1819 2016. 3.24.나무날. 맑음 옥영경 2016-04-08 682
1818 2016. 3. 9.물날. 흐림 옥영경 2016-03-29 682
1817 2015.11. 8.해날. 비 옥영경 2015-12-04 682
1816 2015. 8.17.달날. 맑음 옥영경 2015-09-03 682
1815 2015. 5. 6.물날. 맑다 구름 조금 옥영경 2015-06-22 682
XE Login

OpenID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