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 3.24.해날. 맑음

조회 수 783 추천 수 0 2019.04.04 17:46:34


쉬어가자, 오늘은 휴일이잖아.

산골살이가 그런 날이 어딨냐만 그리 말하고 나면 조금 더 느긋하게 쉬어지는 듯.


학교아저씨는 읍내 장날이라고 나들이를 갔다.

달에 한 차례 나가서 바깥 음식도 먹고

목욕탕이 잘 있나 보고 머리도 자르고 오신다.

홀로 가마솥방 난롯가에서 바느질을 하였다.

뭔가를 만들고 있으면 내리하고픈 욕심이 인다.

서둘러 마무리해야 다른 일을 할 수 있을 것 같은.

그러나 내리하지는 않는다, 한 자세에 무리가 가지 않도록.

사실은 내리 못한다. 다행이랄까, 몸을 쉬어주는 것에.

3월에는 아직 사람들 발길도 뜸한 때,

낯선 사람이 나타났다고 사과도 만화도 짖을 일은 없었다.

가능하면 바깥 움직임을 나서지 않고 몸을 널어 놓다시피 하는 요즘이다.

이 봄이 지나면 힘이 세질 수 있을 것 같다.

곧 아이들과도 힘차게 만날 것이다.

기락샘이 들어와 책방에 쌓인 여덟 상자의 책을 살폈다.

2002년 박사과정을 위해 시카고로 떠날 때 서울에서 내려 보낸 상자가

책방 벽책장 아래 벽장에서 자고 있었다.

“이적지 안 쓴 거면 별로 중할 것도 없을 걸. 그래도 살펴봐요.”

우리가 지닌 많은 물건들이 그럴테지.

두 상자로 남았다.


한낮, 겨울이면 묵던 된장집 방 하나에 들어 짐도 뺐다.

그래보아야 책상에 있는 책 몇 권과 잡다한 필기구, 그리고 서너 개의 옷이 전부였다.

재작년 이른 봄의 흔적을 지금에야.

죄송했고, 스스로에게도 미안했다.

나부터도 ‘마치 아무 일도 없던 것처럼!’ 돌아보라.

나는 요새 죽을 준비를 하며 산다. 오늘은 죽기에 좋은 날!

그건 결국 잘 살려는 노력일.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이름 날짜sort 조회 수
4874 2008.12.23.불날. 갬 옥영경 2008-12-29 1111
4873 2008.12.24.물날. 꾸물딱거리는 하늘 옥영경 2008-12-29 1153
4872 2008.12.25.나무날. 눈발 날리다가 옥영경 2008-12-29 1205
4871 2008.12.26.쇠날. 맑음 옥영경 2008-12-30 1341
4870 2008.12.27.흙날. 맑음 / 미리모임 옥영경 2008-12-30 1349
4869 128 계자 여는 날, 2008.12.28.해날. 맑음 옥영경 2008-12-31 1457
4868 128 계자 이튿날, 2008.12.29.달날. 구름 걷어내며 해가, 그러다 싸락비 옥영경 2009-01-02 1623
4867 128 계자 사흗날, 2008.12.30.불날. 눈 옥영경 2009-01-07 1393
4866 128 계자 나흗날, 2008.12.31.물날. 맑음 옥영경 2009-01-07 1326
4865 128 계자 닷샛날, 2009. 1. 1.나무날. 맑음 / 아구산 옥영경 2009-01-08 1426
4864 128 계자 닫는 날, 2009. 1. 2.쇠날. 맑음. 맑음 / 아이들 갈무리글 옥영경 2009-01-08 2063
4863 2009. 1. 3.흙날. 맑음 / 129 계자 미리모임 옥영경 2009-01-09 1270
4862 129 계자 여는 날, 2009. 1. 4.해날. 맑음 옥영경 2009-01-09 1270
4861 129 계자 이튿날, 2009. 1. 5. 달날. 꾸물럭 옥영경 2009-01-09 2053
4860 129 계자 사흗날, 2009. 1. 6. 불날. 눈이라도 내려주려나 옥영경 2009-01-21 1360
4859 129 계자 나흗날, 2009. 1. 7. 물날. 맑음 옥영경 2009-01-22 1484
4858 129 계자 닷샛날, 2009. 1. 8.나무날. 맑음 옥영경 2009-01-23 1412
4857 129 계자 닫는 날, 2009. 1. 9. 쇠날 / 갈무리글들 옥영경 2009-01-24 1718
4856 2009. 1.9-10.쇠-흙날. 맑다가 눈발 / 129-1 계자? 옥영경 2009-01-24 1337
4855 놓쳤던 몇 가지 옥영경 2009-01-27 1171
XE Login

OpenID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