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둑비가 다녀갔다. 새벽이었다.

이른 아침 멎었지만 해는 나지 않고 바람이 조금 불고 있었다.

학교 아저씨는 가마솥방에서 난로를 설치 중.

가마솥방 앞 꽃밭의 마른 잎들을 정리 중.


그제 심은 느티나무에 어제는 물을 주며 삽질을 했고,

오늘은 그 그늘 아래의 장승 둘을 받친 돌무데기를 정리하다.

여름 가고 가을 깊어가는 사이 풀은 내 세상이라며 한껏 무성했다.

풀을 뽑고, 툭툭 던져두었던 돌들을 들어내

찬찬히 둥글게 쌓아올렸다.

밭가에서 나오는 돌마다 그 안으로 던지면 돌무더기가 모양을 갖춰갈 테다.

그런 순간 사는 것 같다.

없던 것이 눈앞에 덩어리감을 가지고 나타나서도 그럴 수 있겠지만

피가 이 끝에서 저 끝으로 휘돌아나가는 생명력이 느껴지는.

두어 시간 힘을 쏟고 일어선다.


“아끼다 임자 만났네요.”

이웃 도시의 한 대학에서 강의를 하는 금해샘이

중국에서 교환 온 학생의 부모가 한 선물이라고

다구가 같이 있는 차가 든 상자를 보내왔다.

내게 쓰이지 않는다고 쉬 남에게 줄 수 있는 건 아닌 줄 안다.

좋은 사람을 알고 나면 사는 일에 힘이 난다.

그런 사람 아는 것만도 비할 데 없는 기쁨이었는 걸...


학교 본관 비닐을 칠 때가 되었다.

작년에 쓰고 걷어둔 것들을 꺼낸다.

개켜져 있기는 하나 씻겨져 있지는 않았다.

바로 쓸 수 있도록 늘 앞을 그리 정리해두자 하지만

너른 살림에서 다른 일을 하다 그만 밀리기 쉽고, 그러다 잊혀버리기도.

물꼬를 비웠던 한 해, 돌아와 미처 챙겨보지 못했던 일들이

이렇게 모습을 드러내는 게 여러 건이었다.

새로 사자는 의견도 있었지만

플라스틱 환경오염이 어디 하루이틀이고 국소부위의 문제더냐.

경제적인 문제가 아니더라도 쓸 수 있을 때까지 써야 할 것.

바깥수돗가에 다 꺼내 쌓아둔다.

볕 좋은 날 해야 마르기도 금세고

한 번에 다 일하기도 좋을.

그만 또 잊히지 않아야 할 텐데.


밀린 기록들을 정리한다.

02시가 넘어간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수sort
5074 2007. 6. 1.쇠날. 맑음 옥영경 2007-06-15 1244
5073 2007. 4.27.쇠날. 맑음 옥영경 2007-05-14 1244
5072 2012. 2.16.나무날. 다시 한파 옥영경 2012-02-24 1243
5071 2008. 7.13.해날. 맑음 옥영경 2008-07-27 1243
5070 2008. 6.20.쇠날. 비 옥영경 2008-07-06 1243
5069 2007.11.13.불날. 맑음 옥영경 2007-11-21 1243
5068 2007. 5.15.불날. 맑음 옥영경 2007-05-31 1243
5067 2006.2.1.물날.흐림 옥영경 2006-02-02 1243
5066 105 계자 닷새째, 8월 5일 쇠날 참 맑은 날 옥영경 2005-08-13 1243
5065 2011. 5.18.물날. 맑음 옥영경 2011-05-30 1242
5064 2007. 4.15.해날. 맑음 옥영경 2007-04-24 1242
5063 2006. 9.14.나무날. 맑음 옥영경 2006-09-20 1242
5062 2006.4.30-5.4.해-나무날 / 자율학교였단다 옥영경 2006-05-09 1242
5061 2006.2.15.물날. 비였다가 눈이었다가 옥영경 2006-02-16 1242
5060 2005.12.16.쇠날.차름하게 내리는 눈 / 출토 옥영경 2005-12-17 1242
5059 9월 21일 물날 비 옥영경 2005-09-24 1242
5058 2009. 2.26.나무날. 맑더니 오후 늦게 흐려지다 옥영경 2009-03-11 1241
5057 2007. 8.28.불날. 비 옥영경 2007-09-21 1241
5056 2006. 9.26.불날. 아주 가끔 구름 옥영경 2006-09-29 1241
5055 108 계자 열 이튿날, 2006.1.13.쇠날. 가랑비 옥영경 2006-01-15 1241
XE Login

OpenID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