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12. 4.흙날. 진눈깨비 살짝

조회 수 360 추천 수 0 2021.12.31 02:51:37


김장을 했느냐 물어주는 이가 고마웠다.

먼저 했다고 나눠주겠다는 이가 고마웠다.

우리도 김장을 해서 혹 김장 했는가 물을 수 있어서 고마웠다.

나눠줄 수 있어 고마웠다.

 

며칠 만에 보는 습이들이 팔딱거렸다.

기락샘도 들어왔다. 더 반가이 짖는 제습이와 가습이었다.

기락샘이 습이들 산책을 시켜주었다.

김장김치로 밥을 먹었다.

된장 풀어 배추국을 끓였고, 배추전을 부쳤다. 쑨 도토리묵도 냈다.

 

식구들 모두 올라 사과를 땄다. 정말 가을의 허공에 주렁주렁하던 사과.

꼭 딸 생각이 있었던 건 아니었다.

작년에 세 그루를 심고 그 길로 얼마쯤의 사과가 열렸지만,

따서 맛보니 달기는 했으나 수확의 의지가 생기지는 않았다.

장대로 쳐서 내려 거름으로 썼다.

올해라고 볼품이 더 있는 건 아니었다.

하지만 더 굵었고, 얼마라도 따서 먹겠다고 관리를 제법 하기도 했다.

물도 부지런히 주었고.

달았다. 생과로 먹지 않더라도 잼이라도 하지 하고 딸 날을 엿보았다.

조금만 더 조금만 더, 그러다 겨울이 와버렸다.

새들이 자주 다녀갔다. 쪼아서 생긴 흠집 부위가 말라가고 있었다.

다른 일에 밀리더니 결국 이 골짝 다 못다 먹고 지나는 딸기처럼 오디처럼이고 마는 게 아닌가 하다가

오늘 마침 날이 되었던.

달골 대문 앞의 농로 재포장으로 차가 다니지 못하니

일단 햇발동 베란다 안으로 컨테이너 세 개를 옮겨두었다,

신문을 이불처럼 도톰하게 잘 덮어.

찻길이 뚫리면 바로 내리기로.

 

달골이 비어있는 동안 하얀샘이 들어와

햇발동 앞의 수련이 담긴 큰 수반이며

느티나무삼거리의 느티나무 아래 수도를 잘 여며놓았더라, 얼지 말라고.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수sort
5934 2008. 7.26.흙날. 비 / 125 계자 미리모임 옥영경 2008-07-30 1407
5933 2008. 3.24.달날. 갬 옥영경 2008-04-06 1407
5932 2007. 4. 4.물날. 엷게 찌푸려있더니 오후에 맑다 옥영경 2007-04-16 1407
5931 2007. 2.20.불날. 맑음 옥영경 2007-02-22 1407
5930 116 계자 이튿날, 2007. 1. 8.달날. 맑음 옥영경 2007-01-12 1407
5929 4월 28일 나무날 시원찮게 맑음 옥영경 2005-05-08 1407
5928 10월 29일 쇠날 맑음 옥영경 2004-10-30 1404
5927 2009. 2.23.달날. 갬 / 멸간장 옥영경 2009-03-07 1403
5926 2009년 4월 몽당계자 갈무리글 옥영경 2009-04-19 1402
5925 2008. 9. 13-15. 흙-달날. 가끔 구름도 있던 한가위 연휴 옥영경 2008-09-26 1402
5924 2005.11.9.물날.맑음 / 쉬운 건 아니지만 옥영경 2005-11-10 1402
5923 103 계자, 5월 29일 해날 짱짱한 날 옥영경 2005-06-03 1402
5922 12월 16-7일, 새끼일꾼들 옥영경 2004-12-22 1402
5921 2008.10.25.흙날. 맑음 옥영경 2008-11-02 1401
5920 2006.2.12.해날. 맑음 / 답 메일 옥영경 2006-02-13 1401
5919 108 계자 사흘째, 2006.1.4.물날.흐림 옥영경 2006-01-05 1401
5918 2007.12. 7.쇠날. 대설에 내리는 눈 옥영경 2007-12-27 1400
5917 2007. 6.13.물날. 흐리다 비 옥영경 2007-06-26 1400
5916 2006.5.5.쇠날. 흐린 오후 / 들놀이 옥영경 2006-05-11 1400
5915 2005. 12.26.달날 / 교사는 무엇으로 사는가 옥영경 2005-12-26 1399
XE Login

OpenID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