따뜻한 봄에는 병아리마냥
술에 취하거나, 아니면 마술에 걸린마냥
쉴새없이 하품이 나오고 졸음이 온다.

봄에는 많은 나물들과 산나물이 손짓을 한다.
쑥에서부터 달래까지 이루 수없는 우리의 먹거리들,,,,
산에서는 두릅이 나오기 시작했고,
인근 낮은 산 양지에서는 고사리가 부른다.
그 중의 산나물 중의 하나가 당귀가 아닐까?
당귀라는 표현보다는 산당귀라는 표현이 더 정확하리라.

당귀와 산당귀,,,,
집의 뜰이나 뒷뜰,
아니면 밭에서 재배하면 당귀
산에서 자라고 있으면 산당귀 이렇게 구분한다.
산당귀 씨앗을 채종하여 밭의 당귀를 재배한다.

당귀는 수당귀와 암당귀로 나눈다.
수당귀는 씨앗을 맺으며,
뿌리는 구근 형성을 하지 않기 때문에 약재로 사용하질 않는다.
재배하는 밭에서 당귀씨를 받아 다시 재배를 하게되면
수당귀가 많이 생기는 관계로
씨앗은 반드시 산당귀에서 채종을 한다.
어떻게 알았냐구요?
당귀농사도 몇 년 했다 아임니껴.

당귀 역시 좋은 한약재이면서
좋은 나물로써
한국의 대표적인 허브라 할 것이다.

한 번 심어 놓게 되면
다년초인 관계로 계속적으로 이용이 가능하기 때문에
장래적으로 아주 좋은 먹거리가 되리라 확신합니다.

번씩은
산에서 종근을 캐어 심기도 하고,
씨앗으로 옮기기도 하고,
요즘 영양 장날에 가끔은
당귀 모종을 팔기도 하고,
작년 묵은 뿌리도 판답니다.

잎을 그냥 초장이나 고추장에 찍어 드셔도 좋고,
간장에 채썰어서 담가 드셔도 되고,
장아찌를 담아도 아주 좋답니다.

당귀잎 많이 먹고,
낮잠 자지말고,
대한민국의 경제를 살립시다.
이상은 해달뫼농원에서 알려드렸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수
공지 물꼬를 다녀간 박상규님의 10일간의 기록 [5] 박상규 2003-12-23 142416
5219 물꼬갈려고 햇늠두ㅐ. 홍ㅇ1.☆ 2002-09-20 885
5218 Re.. 희정샘~ 기운내세요~ 품앗이 일꾼 2002-09-23 885
5217 Re..희정샘~~ 아푸지마세요~~~♡ 품앗이 승희^^ 2002-09-23 885
5216 잘 쉬셨는지요... 김희정 2002-09-23 879
5215 Re..안녕하세요. 신상범 2002-09-23 885
5214 Re..죄송합니다. 신상범 2002-09-23 887
5213 똑똑 이 수연 2002-09-23 887
5212 누군데요? 김희정 2002-09-24 872
5211 물꼬, 인터넷 됩니다...!!!! 김희정 2002-09-24 885
5210 무시라 희정샘 아프다고? 나도 푸마시 2002-09-24 890
5209 Re..너 윤실이지? 신상범 2002-09-25 885
5208 Re..좋지이이이이! 신상범 2002-09-25 886
5207 꺄울~ 민우비누 2002-09-25 871
5206 Re..네, 문 열렸는데요. 신상범 2002-09-25 885
5205 똑똑 2 이수연 2002-09-25 885
5204 Re..잘 다녀오세요. 신상범 2002-09-25 909
5203 내일은 여기 없대요 김재은 2002-09-25 885
5202 Re..이제 알았다! 신상범 2002-09-26 885
5201 Re.크으~ 타의 추종을 불허하는 상밤샘의 상상력.... 또 그 푸마시 2002-09-26 885
5200 Re.. 잘 다녀오시길... 허윤희 2002-09-26 886
XE Login

OpenID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