따뜻한 봄에는 병아리마냥
술에 취하거나, 아니면 마술에 걸린마냥
쉴새없이 하품이 나오고 졸음이 온다.

봄에는 많은 나물들과 산나물이 손짓을 한다.
쑥에서부터 달래까지 이루 수없는 우리의 먹거리들,,,,
산에서는 두릅이 나오기 시작했고,
인근 낮은 산 양지에서는 고사리가 부른다.
그 중의 산나물 중의 하나가 당귀가 아닐까?
당귀라는 표현보다는 산당귀라는 표현이 더 정확하리라.

당귀와 산당귀,,,,
집의 뜰이나 뒷뜰,
아니면 밭에서 재배하면 당귀
산에서 자라고 있으면 산당귀 이렇게 구분한다.
산당귀 씨앗을 채종하여 밭의 당귀를 재배한다.

당귀는 수당귀와 암당귀로 나눈다.
수당귀는 씨앗을 맺으며,
뿌리는 구근 형성을 하지 않기 때문에 약재로 사용하질 않는다.
재배하는 밭에서 당귀씨를 받아 다시 재배를 하게되면
수당귀가 많이 생기는 관계로
씨앗은 반드시 산당귀에서 채종을 한다.
어떻게 알았냐구요?
당귀농사도 몇 년 했다 아임니껴.

당귀 역시 좋은 한약재이면서
좋은 나물로써
한국의 대표적인 허브라 할 것이다.

한 번 심어 놓게 되면
다년초인 관계로 계속적으로 이용이 가능하기 때문에
장래적으로 아주 좋은 먹거리가 되리라 확신합니다.

번씩은
산에서 종근을 캐어 심기도 하고,
씨앗으로 옮기기도 하고,
요즘 영양 장날에 가끔은
당귀 모종을 팔기도 하고,
작년 묵은 뿌리도 판답니다.

잎을 그냥 초장이나 고추장에 찍어 드셔도 좋고,
간장에 채썰어서 담가 드셔도 되고,
장아찌를 담아도 아주 좋답니다.

당귀잎 많이 먹고,
낮잠 자지말고,
대한민국의 경제를 살립시다.
이상은 해달뫼농원에서 알려드렸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물꼬를 다녀간 박상규님의 10일간의 기록 [5] 박상규 2003-12-23 140867
5180 얼른 졸업하셔요! 김희정 2001-06-18 1769
5179 안녕들하시죠? 김윤주 2001-08-16 1767
5178 잘 도착했습니다 [1] 서울시장 오세훈 2016-12-27 1765
5177 잘도착했습니다~~ [2] 이태환 2013-01-11 1764
5176 서여니에여 한서연 2001-07-30 1764
5175 잘 도착했습니다. [3] 오소연 2016-08-17 1762
5174 감사합니다. 김은정 2001-08-14 1760
5173 달리기 잘 하셨나봐여^^ 한지영~ 2001-06-11 1760
5172 여름계자신청(홍인교)입니다 [3] 홍인교 2012-06-25 1754
5171 초등학교 여름방학 일정을 묻습니다. 자유학교 물꼬 2006-06-08 1754
5170 소연 in 전주 (잘 도착했습니다~) [6] 오소연 2017-01-13 1753
5169 방송 [2] 민성재 2012-01-31 1752
5168 청소년 훈련 프로그램/자료⑫ 오리엔티어링을 통한 각종 교육훈련 file 無耘 2007-03-15 1752
5167 다시 2001-08-15 1752
5166 돌아왔습니다^^ 한지영 2001-08-15 1750
5165 개교기념잔치 연주곡목 안내 [1] 청률국악동호회 2005-04-21 1748
5164 물꼬 왔습니다 [2] 진현 2012-02-12 1747
5163 복주머니를 드립니다. file [1] 큰뫼 2005-05-08 1747
5162 변태테스트 했다.. 근태샘 2001-08-27 1746
5161 안녕하세요~ [1] 백진주 2012-03-28 1744
XE Login

OpenID Login